티스토리 뷰
오늘은 누웠다 일어날때 어지러운 증상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포스팅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가끔 누웠다가 일어날때, 또는 앉았다가
일어날때 머리가 핑 도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가볍게 여기시고 잠시 휴식을 취하면
괜찮아 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이 계실텐데요.
누웠다 일어날때 어지러운 증상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기립성 저혈압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정상인의 경우에는 갑자기 일어나더라도
몸의 자율신경계가 적절하게 반응을하여
혈압이 저하되지 않고 유지되는데요.
기립성 저혈압 이시라면 갑자기 일어날 시
순간적으로 핑 도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빈혈로 오해 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실텐데요.
빈혈은 혈액속에 적혈구 성분이 부족한
상태를 말하며 적혈구는 부족하지 않더라도
산소공급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말 그대로 일어날때처럼
자세를 갑자기 바꿀 때 혈압을 조절하는
자율신경 기능에 장애가 생기면서 어지럼증을
느끼는 질환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원인으로는 항고혈압제와
정신질환 치료제 등 약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고 당뇨병이나 류마티스 질환,
만성 알코올 중독증에 의해서 나타나기도
합니다.
증상은 말씀 드렸다시피 누웠다 일어날때
나타나고 다시 누우면 가라앉게 됩니다.
뇌질환이 동반된 경우에는 원인 질환의
소견이 나타나며 원인 질환이 없이 생긴
경우에는 두통이나 목이 뻣뻣함, 전신 무력감,
현기증, 소변이나 대변이 마려운 느낌,
어지럼증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이 있다고해서 모두 치료하지
않고 원인 질환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여
유발 원인을 찾고 부작용이 나타나는 약물을
찾아서 조정하고 필요시에 수액을 공급하거나
저혈압 방지 약물을 투여하기도 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시고 염분 섭취를
적당히 하시는 것이 좋으며 술을 드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것을 피하고 천천히 움직이며
일어나고 중간에 한번씩 쉬면서 일어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증상이 지속되고 최근 복용한 약물에
의해서 기립성 저혈압 증상이 있다고 생각이
드신다면 전문의와 상담을 해보셔야 합니다.
이상 누웠다 일어날때 어지러운 증상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병원을 가셔서
의사분과 상담후 저혈압 방지를 위한 약물
복용 여부를 결정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